실험1. 스탠포드 교도소 실험
71년 스탠포드 필림 짐바르도교수
가상의 감옥에서 실시한 모의실험
학생들 대상 교도관,수감자 역할게임
처음에는 연기였으니 갈수록 교도관역의 무자비한 학대 수감자역도 무조건 복종,신경쇠약증세
감독관으로 참여한 교수본인도 교도소의 권력자로 변해가는것을 느낌
결국 6일만에 실험 중단
루시퍼효과 - 평범하고 선량한 사람도 특정한 상황하에서 사악한 모습이 나올수있다.
실험2. 모방송사의 가상실험
방안에 5명의 실험참가자 문밖에서 연기가 들어오기시작
1명을 제외한 4명은 모른척하기로 사전 약속
1명의 반응은 처음엔 두리번 거렸지만 주위사람들이 반응을 보이지 않자 자기도 무반응
같은 실험을 4집단에 하여도 같은 결과
왜 평범한 사람들이 다른사람들을 학대하거나 신경쇠약에 걸리고
왜 위기의 상황에서 먼저 움직이려 하지 않는가
사람들은 어떤 판단을 할 때,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주변사람들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받음
전통적인 수많은 연구나 게임이론에서는 인간은 합리적인 동물이라는 가정하에, 이론을 펼쳤으나
최근엔 그 가정이 제한적 합리성으로 수정되고 있음.
분명한 판단이 서지 않을때는, 먼저 선택한 주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받거나 심할땐 남들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군중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함.
ex)주위사람따라 무단횡단한 경험
처음가는 식당 2곳에서 손님이 많은 곳으로 가고 싶은 심리
기부함에 돈을 넣어두면 효과 증대
엔론사태때 직원들의 회계조작 방조
대구 지하철참사 생존자 인터뷰
"연기가 들어왔는데 옆사람이 가만히 있어서 사람들이 탈출할 생각을 안했다."
실험3. 군중이 움직이는 신비한 숫자
길거리에서 아무것도 없는 하늘을 가리키며 보고 있는 한 남자
-길거리 사람들은 이상한 사람 보듯하며 그냥 지나감
두 사람일 시에도 사람들은 흘깃쳐다보기만 할뿐 아무런 반응이 없음
세사람 등장 후 즉시 수많은 사람들이 발길을 멈추고 동시에 하늘을 올려다봄.
한 두명일 때는 아무 관심도 없다가 세명에게는 전체를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다는 3의 법칙
2005년 플랫폼 사이에 몸이 낀 사고 사람들이 몰려와 극적으로 구축
여기에서도 드라마의 시작은'3명'의 액션
3명이 한뜻으로 모이고 한곳을 가리키면 이는 집단이 되어 전체를 바꿀 수 있다.
비전을 같이 할 3명만 확보하라 전체가 움직일 것이다.
'리더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속적인 변화관리를 위한 10가지 팁 (0) | 2014.05.26 |
---|---|
[스크랩] 성공적인 변화관리 전략 (0) | 2014.05.26 |
[스크랩] Good Boss Bad Boss (0) | 2014.05.26 |
[스크랩] 리더의 일 (0) | 2014.05.26 |
[스크랩] 직원의 능력은 조직의 책임 (0) | 2014.05.26 |